모임의 근본은 인정人情
[아무리 그 뜻이 고상하고 높고 심지어 운이 따르고, 또 그 운이 신령스럽다 해도 모임의 근본은 인간적인 정情을 바탕으로 시작됩니다. 하지만 아래 말씀은 인정으로 모인 모임이 비록 정의롭고 그 모임이 시운에 맞으며 그 운이 형통하고 신령스럽고 장대할지라도 올바른 맥으로 이어진 것이 아니면 그 모임에 발을 들이지 말라는 말씀입니다. 이 말씀은 이 급변하는 변혁의 시대 우리가 궁극적으로 어떠한 모임을 선택해야 할지를 알려주는 매우 깊은 의미의 말씀이라 생각됩니다. 그런데 인정(人情), 우정(友情), 애정(愛情), 다정(多情), 무정(無情), 유정(有情), 온정(溫情), 연정(戀情), 사정(私情), 감정(感情), 열정(熱情), 치정(癡情), 동정(同情), 칠정(七情), 냉정(冷情), 통정(通情), 춘정(春情)..
2023. 11. 9.
무지는 죄인가? 인공지능과의 대화 1
구글 바드 챗 링크 https://bard.google.com/chat Q1) 안녕 바드, 불교에서 무지는 만악의 근원이라고도 하는데, 무지란 죄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바드는 어떻게 생각해? 불교에서 말하는 무지는 단순한 무지가 아닙니다. 진리를 모르는 것이 아니라, 진리를 왜곡하고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돈을 많이 벌기 위해 거짓말을 한다면, 그 사람은 돈을 벌고 싶은 욕심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하지만, 진리를 알았다면, 거짓말을 하지 않고도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무지는 이러한 욕심, 분노, 어리석음과 같은 번뇌를 가리킵니다. 이러한 번뇌는 우리가 진리를 보지 못하게 하고, 나쁜 행동을 하게 만듭니다. 따라서, 불교에서 말하는 무지는 죄라고 ..
2023. 11. 4.
기억을 위한 고속도로는 느낌이다. (박문호 박사 2부)
[공부를 왜 해야하는지에 대해서는 깊은 각성이 필요하지만, 아무튼 박문호 박사님은 다양한 분야의 학문을 종횡무진 공부하며 쌓은 깊은 내공으로 매우 깔끔한 통찰력을 보여주십니다. 제 입장에선 그 핵심 내용들이 거의 음양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처럼 들리는데요. 음양의 원리는 시공의 존재 및 만유의 변화원리이지만, 사실 고대 수행론에선 특히 인간의 의식이나 생각을 형상화, 물질화하는 원리이기도 합니다. 생각을 형상화하기 위해서는 집중적인 훈련이 필요하다는 말씀엔 정말 공감하구요. 박사님이 미학의 원리에서 강조하는 균형, 리듬, 대칭, 피크점 이동, 대조, 그리고 암기 기법인 대칭화, 모듈화, 순서화의 개념들은 모두 음양의 이치와 연결된 것이지만, 본인이 쌓은 지식과 느낌으로 깔끔하고 압축적으로 전달을 해주니 파..
2023. 10. 31.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주자
[중용의 핵심어는 윤집궐중允執厥中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서전서문의 정일집중精一執中과도 연결되는데요. 중용에서는 이 정일집중을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으로 좀 더 상세히 풀어주고 있죠. 순임금은 오직 유정유일惟精惟一, 정미하고 하나로 집중된 마음으로만 그 중中을 잡을 수 있다고 전하는데요. 따라서 이 중中을 잡는게 유가 심법공부의 결론이라 볼 수 있죠. 그럼 그 중中이 뭐냐? 그것은 단순히 좌左도 우右도 아닌 즉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중도中道 심법을 뜻하는 게 아니라, 원래는 천부경의 본심본태양앙명의 본심本心, 모든 조화와 창조의 근원인 천지의 마음, 음양을 조절하는 조절자의 마음, 토심土心, 하도의 중앙에 위치한 5와 10토, 조화옹과 상제님의 마음, 황극의 마음, 즉 텅빈 마음, 불가의 공空과 같은..
2023. 10.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