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정보

고구려 7차 천도와 도읍지

by 광명인 2024. 3. 27.

이성계가 회군한 곳이 현재의 압록강일까? 우리나라 역사를 배우다 보면 알 수없는 것들이 너무나 많다. 압록강도 그 중의 하나다. 중국의 '연산도燕山圖'라는 고지도를 보면 압록강현재의 요하에 그려져 있다. 만약에 현재의 압록강이 고려시대까지의 압록강이 아니라면 우리역사는 처음부터 다시 써야 할 판이다. 서희가 거란으로부터 외교담판으로 뺏은 강동6주는 현재의 압록강근처가 아니라 현재 중국 요령성 요하근처가 된다. 이처럼 고려시대까지의 압록강의 위치를 찾는 것은 우리역사에서 너무나 중요하다. 특히 중국의 역사침략과 이를 통한 영토침략까지 예고된 상태에서 압록강의 위치를 바로 잡는 것은 미래의 민족의 운명과도 직결된다.

압록강이 고대부터 현재까지 북한의 압록강이었다는 인식은 일제식민사관이 작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제가 일제침략의 일환으로 우리역사를 반도사관에 따라 만들었는데 그 주요기준점이 현재의 압록강이다. 그리고 이 기준에 따라 평양도 북한의 현재 평양으로 새겨 놨다. 이 바탕위에서 우리역사가 전개된다.

집안시 국내성에서 바라본 압록강 우측으로 보이는 북한 땅

그렇다면 압록강이 현재의 요하라는 근거는 무엇일까?

남 교수가 제일 먼저 근거로 내세운 것은 <대명일통지>다. 대명일통지는 명나라 당시 중국의 역사인문지리서이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명의 위치를 설명하고 있다. 이 대명일통지에 우리나라 땅이라고 알려진 평양성과 살수 그리고 압록수가 나온다. 그리고 위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 위치는 결코 현재 우리나라 땅이 아니다. 남 교수의 말대로 현재의 요령성 요하일대로 나타난다.

남 교수가 근거로 내세운 사료는 중국의 <수서>, <구당서>, <신당서>, <통전>, <자치통감>, <통감>, <송사>, <요사>등이다. 우리 사료로는 <삼국유사>, <대동수경> 등이다. 이들 사료에 나오는 압록강 기사를 현재의 압록강에 갖다 맞춰 보면 맞지 않는 것이 압도적이다. 반면에 요하에 갖다 놓으면 자연스럽게 풀이되는 것이 더 많다. ,,, 요하에는 현재 표지석이 크게 있는데 예전에는 ‘구려하’라고 새겨져 있다고 했다.
(원문보기: 고대 압록강은 어디인가?)

고대 압록수였던 지금의 요하, 총 1,345킬로미터에 달하는 요하(The Liaohe River)

고대 압록강의 위치를 밝히는 것은 고구려 도읍지의 천도과정과 장수왕의 평양성을 밝히는데에도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는 일이라 본다. 현재 강단사학에서 한국사 교과서를 통해 가르치는 일반적인 고구려 천도 서술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역사서는 물론 중국의 역사서 들이 주장하는 것을 크게 보면 고구려 최초의 도읍지였던 졸본(홀본)을 현재 중국의 환인지역오녀산성으로 간주한다. 고주몽 성제 이후 유리명제 때 졸본에서 지금의 집안시에 위치한 국내성으로 1차로 천도를 했고, 이 국내성에서 가까운 곳에 산성이 있는데, 그 산성자산성을 환도산성으로 비정을 한다. 그리고 장수왕 때 현재 북한 대동강 유역의 평양성으로 천도했다고 서술하고 있다. 따라서 장수왕이 427년 평양성으로 천도하기 전 약 400여 년 동안 그 강력했던 고구려의 중심지가 지리상 험준한 산골짜기에 위치한 환인지역을 겨우 벗어나 현재의 보잘것 없는 압록강 중류 지역에 위치한 길림성 집안(集安) 일대를 주무대로 삼았다고 서술하고 있는 것이다. 

환인지역의 오녀산성

1. 고주몽의 졸본부  : 요녕성 환인지역오녀산성으로 비정 (최초 비정자는 시라토리 구라키치)
2. 유리왕의 국내성  : 길림성 집안현 (산성자산성, 환도산성)
3. 장수왕의 평양성  : 북한의 대동강 평양

국내 강단학계는 현재 중국 집안에 위치한 성을 국내성 그리고 그 위쪽에 위치한 산성을 환도성으로 추정하고 있음

하지만 강원대 남의현 박사에 의하면 1차 사료, 즉 고려 김부식이 편찬한 [삼국사기]와 조선시대 편찬된 [동국통감]에 기록된 고구려 천도 횟수는 아래와 같이 총 7차로 일관되게 서술되어 있으며, 이긍익의 [연려실기술]과 이종휘의 [동사]에서도 다수의 천도과정이 기록되어 있다고 하면서 만약 고구려 장수왕의 평양이 현재 북한의 평양이 아니라 요동에 위치한 평양이라면 이것은 기존의 고구려사 전반을 뒤집는 충격적인 연구 성과라고 주장한다. 

아래는 김부식의 삼국사기에 기록된 고구려 천도관련 기사들이다. 

1) 고주몽성제께서 개국한 수도, 흘승골성 또는 졸본에 대해 [삼국사기, 잡지 제6-졸본]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통전(通典)』을 살펴보니, “주몽(朱蒙)이 한(漢) 건소(建昭) 2년(기원전 37년)북부여(北扶餘)로부터 동남쪽으로 가서 보술수(普述水)를 건너 흘승골성(紇升骨城)에 이르러 자리를 잡고, 국호를 구려(句麗)라 하고, ‘고(高)’를 성씨로 삼았다. ,, 이로 보아 흘승골성(紇升骨城) 졸본(卒本)은 같은 한 곳이다.” 『한서지(漢書志)』에서 이르기를 “요동군(遼東郡)낙양(洛陽)에서 3천 6백리 떨어져 있고, 속현(屬縣)으로 무려(無慮)가 있다.”고 하였는데, 곧 『주례(周禮)』에서 보이는 북진(北鎭)의 의무려산(醫巫閭山)이고, 대요(大遼) 시기에 그 아래에 의주(醫州)를 설치하였다. 또 “현도군(玄菟郡)낙양(洛陽)에서 동북으로 4천리 떨어져 있고, 소속된 현은 셋이며, 고구려는 그 가운데 하나이다.”라 하였다. 이로 보아 이른바 주몽이 도읍하였다고 일컫는 흘승골성(紇升骨城)과 졸본(卒本)은 아마 한(漢) 현도군(玄菟郡)의 경계이고, 대요국(大遼國) 동경(東京)의 서쪽이며, 『한지(漢志)』의 이른바 현도(玄菟)의 속현 고구려(高句麗)가 이것일 것이다. 옛날 대요(大遼)가 아직 멸망하지 않았을 때 요(遼)의 황제가 연경(燕京)에 있었는데, 곧 우리(고려)의 조빙하는 사신들이 동경(東京)을 지나 요수(遼水)를 건너 하루 이틀에 의주(醫州)에 이르러, 연계(燕薊)로 향하였는데, 이에 그러한 연유를 알 수 있다.

2) 유리왕이 천도한 국내성에 대해서는 [삼국사기, 잡지 제6-국내성]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주몽(朱蒙)이 흘승골성(紇升骨城)에 도읍을 세운 시기로부터 40년이 지나 유류왕(孺留王) 22년(3)에 도읍을 국내성(國內城)[원주:혹은 이르길 위나암성(尉那巖城)이라고도 하고 혹은 불이성(不而城)이라고도 한다]으로 옮겼다. 『한서(漢書)』를 살펴보면 낙랑군(樂浪郡)에 속한 현으로 불이(不而)가 있고, 또 총장(總章) 2년(669)에 영국공(英國公) 이적(李勣)이 칙명을 받들어 고구려의 여러 성에 도독부와 주·현을 설치하였는데, 목록(目錄)에 이르길, “압록(鴨綠)
[고대 압록강은 현재의 요하] 이북에서 이미 항복한 성이 11개인데, 그중 하나가 국내성(國內城)이며, 평양(平壤)으로부터 이 성에 이르기까지 17개 역(驛)이 있다.”라고 하였다. 이로 보아 이 성 역시 북조(北朝-금나라) 경내에 있었으나, 다만 그곳이 어디인지를 알 수 없을 뿐이다.

3) 장수왕 때의 평양과 평원왕 때의 장안성에 관해서는 한 내용은 [삼국사기, 잡지 제6-평양성 장안성]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국내(國內)로 도읍하여 425년이 지나 장수왕(長壽王) 15년(427)에 평양(平壤)으로 도읍을 옮겼다. 156년이 지나 평원왕(平原王) 28년(586년)에 장안성(長安城)으로 도읍을 옮겼으며, 83년이 지나 보장왕(寶臧王) 27년(668년)에 멸망하였다. [원주: 옛사람들의 기록에 시조 주몽왕(朱蒙王)으로부터 보장왕(寶臧王)에 이르기까지의 역년(歷年)은 틀림이 없고 상세한 것이 이와 같다. 그러나 혹은 이르기를 “고국원왕(故國原王) 13년(343)에 (왕이) 평양 동황성(東黃城)으로 이거(移居)하였는데, 성은 지금[고려] 서경(西京)의 동쪽 목멱산(木覓山) 가운데 있다”라 하니, 옳고 틀림을 알 수 없다.] 평양성(平壤城)은 지금 [고려]의 서경(西京)과 같으며, 패수(浿水)는 곧 대동강(大同江)-[여기서 만약 패수가 대동강이라면, 이 대동강은 결코 현재 북한의 대동강이 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사마천의 사기 조선열전에 "위만이 동쪽으로 도망하여 새(塞)를 나와 패수(浿水)를 건너 왕험에 도읍하였다"고 전하기 때문이다.]이다. 어찌 이를 알 수 있는가? 『당서(唐書)』에서 이르기를 “평양성(平壤城)은 한(漢)의 낙랑군(樂浪郡)으로 산굽이를 따라 외성을 둘렀고, 남쪽은 패수(浿水)에 잇닿아 있다.”라 하였으며, 또한 『지(志)』에서 이르기를 “등주(登州)에서 동북으로 바닷길을 가서, 남으로 해안에 연하여, 패강(浿江) 입구의 초도(椒島)를 지나면, 신라의 서북에 닿을 수 있다.”라 하였다. 또한 수(隋) 양제(煬帝)의 동방 정벌 조서에서 이르기를 “창해(滄海) 방면 군대선박이 천 리에 달하는데, 높직한 돛은 번개같이 나아가고, 커다란 군함은 구름처럼 날아 패강(浿江)을 횡단하여 멀리 평양(平壤)에 이르렀다.”라 하였으니, 이렇게 말하는 것으로써 지금 [고려]의 대동강(大同江)패수(浿水)인 것은 명백하며, 곧 서경(西京)평양(平壤)이었던 것 또한 가히 알 수 있다. 『당서(唐書)』에서 이르기를 “평양성(平壤城)은 또 장안(長安)이라고 불렀다.”라 하였고, 그리고 고기(古記)에서 이르기를 “평양(平壤)으로부터 장안(長安)으로 옮겼다”라 하였으니, 곧 두 성이 동일한 것인지 아닌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었는지 가까웠는지는 곧 알 수가 없다.

1. 고주몽의 졸본천 : 졸본천에 이르러, 〔주몽은〕 그 토양이 기름지고 아름다우며, 자연 지세[山河]가 험하고 단단한 것을 보고 드디어 도읍하려고 하였으나, 궁실을 지을 겨를이 없었기에 단지 비류수(沸流水)가에 초막을 짓고 살았다.
2. 유리왕의 국내성 : 22년(3) 겨울 10월에 왕이 국내(國內)로 도읍을 옮기고 위나암성(尉那巖城)을 쌓았다.
3. 산상왕의 환도성 : 13년(209) 겨울 10월에 왕이 환도(丸都)로 도읍을 옮겼다. (환도성은 오곡이 잘 재배되는 곳)
4. 동천왕의 평양성 : 21년(247) 봄 (위나라 관구검이 쳐들어와) 왕이 환도성이 전란을 겪어 다시 도읍으로 삼을 수 없다고 하여, 평양성(平壤城)을 쌓고 백성과 종묘와 사직을 옮겼다. 평양은 본래 선인(仙人) 왕검(王儉)의 땅이다. 다른 기록에는 "왕이 되어 왕험(王險)에 도읍하였다"라고 하였다.
5. 고국원왕의 환도성 : 12년(342) 가을 8월에 〔왕이〕 환도성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해 11월에 모용황이 군사를 이끌고 환도성을 공격하였다. 이때 미천왕의 묘를 파헤쳐 그 시신을 가져가고 수많은 보물과 남녀 5만여 명을 포로로 잡아갔다. 궁실과 환도성을 파괴하고 돌아갔다. 이처럼 환도성이 다시 파괴되자 343년 다시 평양성 동쪽 황성으로 천도하였다.
6. 고국원왕의 평양 동황성 : 13년(343)가을 7월에 평양 동황성(東黃城)으로 〔왕의〕거처를 옮겼다. 성은 지금[고려]의 서경(西京) 동쪽 목멱산(木覓山) 중에 있다.
6. 장수왕의 평양성 : 15년(427)에 평양으로 도읍을 옮겼다.
7. 평원왕의 장안성 : 28년(586)에 도읍을 장안성(長安城)으로 옮겼다.

평양성이 고대 요동(현 하북성)에 있었다는 기록들은 다음과 같다. 

1. 고구려는 부여의 별종에서 나왔다. 그 국도는 평양성인데, 곧 한나라 낙랑군 고지이다. 경사(서안)에서 5천1백리에 있다 [高麗者 出自玞餘之別種也其國都於平壤城 即漢樂浪郡之故地  即漢樂浪郡之故也 在京師東五千一百里] (《구당서》 <고구려열전>)
2. "조선, 기자(箕子)를 뒤에 요(遼)의 낙랑에 봉하였다. 지금 평주(平州)의 노룡(盧龍)에 조선성(朝鮮城)
이 있다. 그런 연유로 무덕(武徳, 618~626)년간에 요(遼)를 기주(箕州)로 삼았다. 8년 고구려 역시 그 지역이다."  <노사(路史)> 권 27, 宋 나필(羅泌) 撰
3. 노룡현 (蘆龍縣:하북성): 조선성(朝鮮城)은 곧 기자가 은나라로 봉함을 받은 지역이다. 지금은 폐성이다. 낙사(樂史:930~1007) 《태평환우기(太平寰宇記)》

4. 조선(朝鮮城)이 영평부(하북성 노룡현) 북쪽 40리에 있는데, 한나라 낙랑군의 속현이다. (『독사방여기요』 권17 영평부)

남의현 교수가 비정한 고려시대까지의 압록수와 평양성의 위치

환단고기는 고구려의 천도과정에 대해 아래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고주몽 성제께서 도읍을 세우신 곳은 졸본이지만 12년(기원전 26) 을미년에 눌견, 현재 중국의 장춘지역으로 도읍을 옮겼고, 이후 유리명제께서 21년(기원후 2)에 국내성으로 도읍을 옮기셨는데, 이곳이 곧 황성이고 환도산성이라는 표현인데, 이맥 선생께서 어떠한 근거로 이러한 기록을 남기셨는지 모르겠지만, 이에 대해 학계에서는 아직 관심을 보이지 않는 듯 하다. 

(고주몽 성제) 평락平樂 11년 갑오(단기 2307, BCE 27)년 10월, 북옥저를 쳐서 멸하고 이듬해 을미년에 졸본에서 눌견訥見으로 도읍을 옮기셨다. 눌견은 지금의 상춘 주가성자朱家城子이다.
(2세) 유리명제琉璃明帝 21년(단기 2335, CE 2), 도읍을 다시 눌견에서 국내성으로 옮겼는데, 이곳을 황성이라고도 한다. 성 안에 환도산丸都山이 있는데, 산 위에 성을 쌓고 유사시에는 거기에 머무르셨다.
(출처: 태백일사 고구려국본기-3)

결론적으로 고구려 평양성의 위치와 천도과정을 밝히기 위해서는 고대 패수(浿水) [참고로 정규철 박사는 패수를 중국 북경 근처를 흐르는 조백하라고 주장한다] 압록(鴨綠)의 위치 등을 포함해서 학자들이 우선적으로 명확히 밝혀야 할 과제들이 많은 것같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현재 강단사학이 신봉하는 고구려 천도의 내용은 1차 사료만으로도 제기될 수 있는 수많은 논쟁꺼리가 있음에도 일제가 깔아놓은반도사관의 틀에서 조금도 벗어나려고 하지를 않는 듯 하다. 북한의 평양고구려의 평양이었다는 것은 도저히 믿기 힘든 부분이 많이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모르쇠로 일관하며 후학들의 의식을 오염시키고, 수많은 쓰레기 자료들을 만들어 내고 있으니, 참으로 한심한 느낌이 든다. 남의현 교수와 같이 다수의 양심있는 학자들이 역사를 밝히고 바로잡는 논문들을 계속 많이 내어주어 한국 역사학계가 개벽되기를 희망해 본다.   

참고자료 1: 고구려 평양의 위치는 중국 하북성 평주
참고자료 2: 고구려 평양성이 하북성에 위치했었다는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