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뮌헨안보회의(MSC)와 협력하여 진행된 모의훈련 결과 보고서는 고위험 생물학적 위협에 대한 전 세계적 대응의 취약성을 드러냈습니다. 이 훈련은 2022년 5월 15일, 가상의 국가 브리니아(Brynia)에서 시작된 유전자 조작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의 국제적 발병을 시뮬레이션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이 바이러스는 18개월 동안 전 세계로 확산되어 약 30억 명의 감염자와 2억 7천만 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습니다. 이는 현재의 국제 시스템이 생물학 테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에 부족함을 시사합니다.
그런데 아이러니 하게도 2022년 5월 6일 원숭이두창 발병이 메스컴에 처음 보도가 되었고, 이후 WHO는 2022년 7월 23일 국제공중 보건 비상사태를 선언하였습니다. 이 비상사태는 2023년 5월 11일에 종료되었지만, 2024년 8월 14일 콩고 및 기타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Mpox 감염자 급증으로 인해 비상사태는 다시 선언되었습니다. 현재 문제는 내전 상태로 인해 Mpox 감염자들이 치료 센터를 벗어나 흩어지면서 감염 관리가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감염 확산의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콩고(DRC)의 최근 Mpox 발병 상황은 인접 국가인 부룬디와 우간다로도 확산되었으며, 현재까지 12개 아프리카 국가에서 대규모 발병이 보고되었습니다. 또한, 아프리카 대륙 외 최소 9개 국가에서도 Mpox 변종인 클레이드 1b 사례가 확인되었습니다. 콩고에서는 현재 원숭이두창 외에도 콜레라, 말라리아, 홍역 등 여러 지역 감염병이 유행 중입니다. 현재 콩고 Mpox 상황]
2021년 3월, 핵위협방지구상(NTI)은 뮌헨안보회의(MSC)와 협력하여 고위급 모의 시뮬레이션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담은 보고서가 2021년 11월에 발간되었습니다. 이 훈련은 국가 및 국제 생물안보와 팬데믹 대비 체계의 격차를 평가하고, 고위험 생물학적 사건에 대한 예방 및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회를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시나리오 개요: 훈련 시나리오는 2022년 5월 15일, 브리니아(Brynia)라는 가상의 국가에서 시작된 유전자 조작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의 국제적 발병을 가정하였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18개월 동안 전 세계로 확산되어 30억 명의 감염자와 2억 7천만 명의 사망자를 초래하였습니다. 시나리오는 바이러스의 실험실 유출로 인한 인위적 기원을 강조하였으며, 이러한 사건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을 평가하였습니다.
주요 발견 사항:
- 국제 생물안보 및 팬데믹 대비 체계의 취약성: 참가자들은 현재의 국제 시스템이 고위험 생물학적 사건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대응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데 동의하였습니다.
- 국가별 대응의 불일치: 각국의 대응이 일관되지 않아 바이러스 확산을 억제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 과학적 데이터 공유의 부족: 발병 초기 단계에서 과학적 데이터와 정보를 신속하게 공유하는 데 장애물이 존재하였습니다.
- 국제적 규제 프레임워크의 부재: 유전자 조작 연구와 관련된 국제적 규제 및 감독 메커니즘이 부족하였습니다.
권고 사항:
- 국제 생물안보 거버넌스 강화: 고위험 생물학적 연구에 대한 국제적 규제 및 감독 메커니즘을 개발하고 강화해야 합니다.
- 국가별 팬데믹 대비 능력 향상: 각국은 자국의 팬데믹 대비 및 대응 능력을 평가하고 강화해야 합니다.
- 국제 협력 및 정보 공유 촉진: 국제기구와 국가 간의 신속한 정보 공유 메커니즘을 구축해야 합니다.
-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 개발: 대중과 이해관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위험을 전달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 보고서는 고위험 생물학적 위협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비 태세를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제안하며,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생물학적 재난에 대한 예방 및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1 단계: 초기 발병 및 대응 (2022년 6월 5일 시점)
- 상황 전개: 가상의 국가 브리니아에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가 발병하여 1,421명의 감염자와 4명의 사망자가 보고되었습니다. 이 시점에서 국제적인 확산 증거는 없으나, 발병이 국가적 휴일 기간 동안 발생하여 국내외 여행이 활발한 상황이었습니다.
2 단계: 바이러스의 국제적 확산 (2023년 1월 10일 시점)
- 상황 전개: 6개월 후, 바이러스는 83개국으로 확산되어 7,000만 명의 감염자와 130만 명의 사망자를 초래하였습니다. 효과적인 치료제나 백신이 없는 상황에서, 각국은 비약물적 개입(NPI)에 의존하여 바이러스 확산을 억제하려 했습니다.
3 단계: 바이러스의 기원 및 추가 확산 (2023년 5월 10일 시점)
- 상황 전개: 발병 1년 후, 전 세계적으로 4억 8천만 명의 감염자와 2,700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습니다. 이 시점에서, 팬데믹이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조작된 바이러스를 사용한 지역적 생물테러 공격으로 시작되었음이 밝혀졌습니다.
자료출처: https://www.nti.org/wp-content/uploads/2021/11/NTI_Paper_BIO-TTX_Final.pdf
'개벽탐구 > 인간 개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WHO 탈퇴하면 5억 명 목숨 앗아간 ‘이 바이러스’ 관리 비상” (0) | 2025.02.15 |
---|---|
콩고 및 인접국에서 엠폭스 발병, 클레이드 1b의 위협 강화 (1) | 2025.01.31 |
병란개벽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0) | 2024.08.25 |
사망률 50% 전염병 대유행 시간 문제 (2) | 2024.07.16 |